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정치인의 두 글자, 두 사람 사진만 봐도 뭔지 알 것 같네요. <br><br>눈물입니다.<br><br>Q. 어제는 나경원 후보, 오늘은 이준석 후보가 눈물을 보였더라고요. <br><br>언제 어디서 눈물을 흘렸는지 영상으로 준비해 봤습니다. <br>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] <br>아직도 11년 전의 그 트라우마에 치료비도 자부담해가면서 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렇게까지 모욕해야 합니까? 다른 건 몰라도 진짜 이거는 너무 가혹합니다. <br><br>[나경원 /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 (어제)] <br>문재인 정부로부터 정말 무한한 핍박을 받았습니다. 제가 그렇게 프레임을 받고 욕설을 당할 때 같이 보호해 주셨습니까? <br><br>Q. 나 후보, 오늘도 라디오에서 울컥했던데요. 의도한 건 아니겠지만, 선거 때면 정치인들 눈물 흘리는 모습이 자주 보이잖아요. 도움이 될까요? <br><br>정답은 없는데요. 동정표를 얻는 경우도 있지만 반감을 살 수도 있습니다. 눈물이 오히려 논란을 키운 사례를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.<br> <br>[남인순 / 당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지난해 7월)] <br>저부터 통렬하게 반성합니다. 너무나 참담한 마음과 자책감이 엉켜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을 양해 부탁드립니다. <br><br>Q. 두 의원,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에게 '피해호소인'표현을 써서 논란이 됐을 때 모습이죠? <br><br>네, 당시 두 의원의 눈물은 '최악의 감성팔이' '가해자 편에 선 남인순, 이제와서 울먹이냐'는 비판을 받았습니다. <br><br>추미애 전 법무부장관도 지난 1월 장관직에서 물러날 때 청사를 떠나며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하던 중 눈물을 보였습니다.<br> <br>정치인의 눈물에 국민이 얼마나 공감하는지는 진정성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.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BTS 끼워넣기. 류호정 정의당 의원이죠? <br><br>류호정 의원은, 문신, 타투를 양성화하자는 법안을 추진 중인데요. <br> <br>어제 "BTS 몸에서 반창고를 떼라!"라는 제목의 글을 SNS에 올렸다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BTS 멤버 정국 사진이군요? <br><br>네, 정국이 문신을 가리고 나온 사진을 올리며 "'타투업법 제정안' 입안을 완료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Q. 류 의원에 따르면 타투 인구가 300만 명이나 되더라고요.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해 문신을 한 유명인을 내세운 것 같네요. <br><br>BTS 팬들은 바로 그 부분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.<br><br><br><br>류 의원 SNS에는 "BTS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하지 말아달라" "타투업을 보호하려면 그에 관련된 사진을 사용해라" "사진 내려달라" 등 팬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습니다.<br><br>Q. 정치권에서 BTS를 내세웠다 논란이 된 적이 처음이 아니죠?<br> <br>노웅래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'BTS 병역특례'를 공식석상에서 언급했다가, 오히려 "해달라고도 안 했는데 왜 나서냐"는 팬들의 반발에 부딪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노웅래 / 당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지난해 10월)] <br>이제 우리는 BTS의 병역특례를 진지하게 논의해야 합니다. 혜택을 받는다면 BTS야말로 당사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.<br> <br>[이낙연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해 10월)] <br>BTS 본인들도 원하는 일이 아니니 이제는 서로 말을 아끼셨으면 합니다. <br><br>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지난 2018년 BTS 평양공연 추진을 꺼냈다가 팬들의 뭇매를 맞았습니다. <br><br>Q. 정치에 거론되는 것 만으로도 팬들은 싫어하는 것 같아요.<br><br><br><br>표를 먹고 사는 정치인에게 연예인 동원이 홍보에 효과적이겠지만 상대방 동의없는 연예인 끌어들이기는 더 이상 하지 말았으면 합니다. <br><br>Q. 외국인들에게 물어봤답니다. 한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, 긍정적인 이미지 1위가 K팝, 부정적인 이미지 3위가 정치였습니다. 느끼는 게 있으시겠죠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